...++
=


안녕? 엽토군 형이야.
저번에 글짓기 대회에 관한 얘기 한 이후로 처음이네.
형이 요새 블로그에 '길게 쓰는 글'을 영 안 썼거든. 그래서 한 번 쓸께.
여러분에 대해서는 그냥 친구들이라고 해도 되겠지?

친구들 학원차 타고 학원 다녀 봤니?
형도 학원 네댓 군데를 다녀 봤는데[각주:1], 학원차라는 게 참 편리해.
제때 제 자리에 가 있으면 차가 와서 자기 같은 학원 원생들을 태워 학원까지 가 주잖아.

지각(해서 괜히 혼날) 걱정도 없고, 여름에 시원하고 겨울에 훈훈하고, 친구들 만나서 좋고.

그런데 이 좋은 학원차에 대해 형은 고개를 갸웃거리고 있어.
왜 그러냐고? 얼마 전에 이상한 풍경을 봤거든.
어떤 학원 가방을 멘 친구들 또래쯤 되어 보이는 어린이들이 있었는데,
버스 정류장 앞에 세워진 학원차 앞에서 심심해 어쩔 줄 몰라하는 거야.
그 안에 들락날락거리고, 차 안에서 뒹굴거리고 하면서.
도저히 이해를 못 하겠더라고. 그 시간에 버스를 타고 집에 가 버리면 되잖아.
그런데 왜 미련하게 학원차 움직이기를 기다리지?
형은 거기서 다시 한 번 생각해 보지 못했던 질문을 얻게 되었어. 사실은 충격적인 장면이었거든.
그리고 드디어 이 글을 쓰는 거야.

바로 본론 얘기할께.
이런 의심을 해 볼 수 있어.
학원차란 학원 공부 일정을 어른들이 철저하게 감시하고 통제하려는 생각에서 나온 거야.
여러분이 제때 차에 타는가, 제때 학원에 갔는가,
집에 돌아가는 학원차 시간까지 잘 버텼는가 (그러니까, 중간에 토끼지 않았는가) 등등이
학원차 제도 하나로 전부 확인이 가능하거든.
한마디로, 학원차는 친구들 좋으라고 있는 게 아니라 어른들 좋으라고 있는 거야.
여러분은 어른들을 위해 학원차에 타고 내리는 거라, 이거지.

겉으로 드러나는 학원차의 운행 이유는 이런 거야.
"원생들이 학원까지 찾아오기에는 학원이 너무 머니까,
학원에서 아이들을 태워 주겠습니다.
그러면 제때제때 편리하게 학원에 오고 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건, 요즘에 와서는 잘 생각해 보면 대체로 대단한 이유가 아니야.

친구들이 다니고 있는 학원과 집(혹 학교)은 서로 얼마나 멀리 있니?
형이 처음 탔던 학원차는 제주도의 도평청소년수련관 차였어.
형이 제일 먼 곳에 살았었는데, 총주행 시간이 못 잡아도 40분은 걸렸을 거야.
그렇게 멀리 떨어져 있는 벽지 지역의 몇몇 원생들을 위해서라면 학원차가 정말 필요하지.
하지만 여러분은, 잘은 몰라도, 도시에 살고 있을 것이고,
거기서는 대중교통과 학원 밀집지역이 잘 갖추어져 있을 거야.
그러니까 마음만 먹으면 학원차 아니라도 학원에 제때 가는 방법은 당연히 있어.
아까 얘기한 심심해 하는 어린이들은 그걸 모른 거고.

물론 학원차라는 게 처음에는 그런 의도로 시작되었을 꺼야.
하지만 시간이 갈수록 그 의도보다는, 아무도 이야기해 주지 않지만,
아까 말한 '원생들의 움직임 감시/통제'의 쪽이 더 중요한 이유가 되고 있을 거 같아.

또 학원차 제도는, 가뜩이나 안 좋은 여러분의 자기통제력을 더 약화시킬 거야.
자기통제력이 뭐냐구?
스스로 '이것을 해야겠다', '하지 말아야겠다' 하고 마음먹고 그대로 옮기는 힘이야.
자기 스스로 공부할 줄 아는 친구들은 자기통제력이 강한 편이라고 할 수 있지.
그리고 형이 알기로는, 학원에 다니는 친구들의 적지 않은 수가
'저 알아서는 공부하지 않으니까' 부모님이 억지로 보내는 경우인 걸로 알고 있어.
그런데 이런 친구들이 학원차를 아무 생각 없이 타고 다니면 어떻게 될까?
숙제 안 한 걸로 혼나던 그 친구들은, 이제 학원차에 제때 안 탔다는 걸로 혼나겠지.
그러면서 점점 '혼나야 말을 듣는' 자기통제력 없는 사람으로 자라날지도 몰라.
물론 이건 과장이야.
그렇지만 걸어가거나 버스, 지하철 등을 타고 학원에 제 발로 가는 친구들이랑,
'학원차에 타기조차 귀찮아하는' 친구들 사이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겠지.

이거 하나는 꼭 기억해 주라.
여러분을 어엿한 사람으로 봐 주는 어른들은 거의 없어.
대부분의 어른들은 여러분을 자기들이 기르고 있는 나무 정도로 생각해.
 꿈이 열리는 꿈나무.

그래서 그 나무가 남들보다 뒤처지면 어떡하나 하는 쓸데없는 걱정 때문에
여러분을 학원에 보내고 계시고, 학원차까지 몰아서 데려가는 거야.
그러면서, 마치 아이들을 학원에 제때 보내 주는 건 우리들이라는 식의 자부심에 절어서
'어린이 보호차량'이라는 표지까지 붙여 가면서 난폭운전을 일삼지.
사실은 여러분이 학원에 갔나, 가면 언제 갔나, 끝까지 잘 있었나, 그런 거나 지켜보고 있으면서.

학원차는 당연히 움직이는 게 아니야.
어른들이 다 돈을 주고받고 했기 때문에 아저씨들이 여러분을 태워주는 거지,
마음이 착해서 여러분을 공짜로 태워준다든가 그런 건 전혀 없어.
(사실은 그래서 난폭운전을 하게 되는 거야. 그건 이해해 줘.)
거기엔 당연히 어떤 의도가 있고, 어른들이 원하는 게 있다는 게 형의 이야기야.
여러분 좋으라고 만든 제도가 절대 아니라는 거지.
그런 생각 해 본 적 있니? 형도 얼마 전에야 해 본 생각이었어.

이제부터 어떻게 해야 하는지 말해줄께.
먼저 집이나 학교에서 학원까지 가는 버스/지하철/걸어갈 길을 잘 찾아봐.
엄마한테 가서 "나 학원차 안 타고 학원 갈 테니까 학원 갈 교통비를 달라"라고 말씀을 드려.
그리고 학원 선생님한테 가서 "나 학원차 안 타고 학원 다닐 테니까
내 학원비에서 학원차 운행 요금만큼을 에누리해 달라"라고 말씀드려 봐.
그 다음엔 어떡하면 되냐고?
허락해 주면 뭐 학원차 타는 대신 알아서 학원 다니면 되고,
허락이 안 되면 아마 여러분은 어른들의 또 다른 모습을 확연히 볼 수 있을 거야.
대부분의 어른들은 이해를 못 하실 거야.
그래도 "어쨌든 지각 안 하고 땡땡이 안 치면 되잖아요?"라고 자신있게 말씀드려야 해.
그러면 허락이 떨어질 수도 있어.
물론 그 책임은 니들이 지는 거야! 형은 지금 그걸 실천해 보라고 말하고 있는 거고.
여기까지 글을 읽어준 친구들은 똑똑한 친구들임에 틀림없는 줄 형은 믿어.
그래서 이런 거까지 얘기해 주는 거야.

남은 학원 생활 멋있게 잘 해라.
기왕 다니는 곳이라면, 어떤 생각을 가슴에 품고 학원을 경험해 봐.
청소년의 자기통제에 전제적으로 개입하여 그 능력을 있는 대로 저하시키고, 기성 세대의 통제와 감시 욕구를 가장 개별적인 영역에까지 침투시키는 이 국제적 웃음거리 수준의 한국 사회 체제 안에서, 그래도 여러분은 부디 스스로 알아서 결정하고 행동하는 그루터기 친구들로 남아 있을 수 있기를.

  1. 이건 자랑인데, 형은 중학교 때 이후로 학원에 다녀 본 일이 없어. 그래서 요새는 학원차 제도가 어떻게 돼 있는지 잘 모르겠네. ㅋㅋㅋㅋㅋ [본문으로]
Posted by 엽토군
:

영성 근황. 비번은 0691.

2009. 7. 20. 10:01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懺・さよなら絶望先生 第三話
「×の悲劇」「私は日本には帰りません。そういう決心をできませんでした。」「ドクトル・カホゴ」
안녕 절망선생 참편 3화
"날이 흐리고 스위치가 눌린다", "나는 제삼 모르고 살았노라", "입 속의 보호받는 잎"

012345678

으, 을뀨님보다 빨리 만든 건가요? 지금 할 말이 그거밖에 없어요... 인제 드뎌 자러 갑니다. ㅠㅠ
가사는 이번 편에서 오프닝만 만들어 넣었습니다. 지금 이지캡션 적응을 아직도 못해서, 다른 자막들 손보는 것 및 엔딩가사 만드는 건 나중에 할께요. 죄송해요! - v1.0

오프닝 최신개정판(?)과 엔딩을 집어넣고, 한두 군데 고치기만 했습니다.
원래 제가 번역을 하고 나면 revise를 별로 안 합니다. 1.0에서 똑 부러지게 한다는 주의여서...
나중에 보다가 오타 오식 나오면 그때 또 굼뜨게 고치겠지요. - v1.1

↓이거 다운받으세요↓

(스폰서 있는 23:59짜리 SayMove 영상 기준)
Posted by 엽토군
:

출처를 적기 싫어서 안적은게 아니라 찾기 어려워서 못적겠음

'2 다른 이들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Parody Productions, ( REALLY? )  (0) 2009.07.28
다시 듣자 Matt Redman  (0) 2009.07.22
Michael Moore, <Save Our CEOs> the Teaser  (2) 2009.07.05
now retwitted  (0) 2009.06.23
David Crowder * Band, <Bwack Be Creepin'>  (0) 2009.06.19
Posted by 엽토군
:

懺・さよなら絶望先生 第二話
「持つ女」「おろしや国タイム譚」「晒しが丘パート2」
안녕 절망선생 참편 2화
"나는 역사를 내 성을 믿지 않아도 좋다", "나도 모를 아픔이 시차가 나 처음으로 이곳에 찾아왔다",
"나 가진 것 탄식밖에 없어 2부"

012345678

오늘은 거의 10시간 넘게 자막질(과 딴짓과 밥먹기)만 했네요.
저는 내일부터 아버지 따라 월말까지 노가다 뛰러 갑니다. 따라서 시간을 잘 지키지 못할 듯합니다.
절망선생은 뭐랄까, 이젠 완전히 메이저거든요.
그래서인지 처음의 절망적 에토스와 순수문학적 풍미도 많이 빠지고,
덕분에 오덕심 하나로 버텨온 절망선생 번역 및 자막도 3기쯤 오니 군기가 빠집니다.
죄송해요. - v1.0

br태그 일일이 넣었습니다. 비스타, WMP11, 이 망할놈들 - v1.1

잘 안 보여서 똑바로 번역하지 못한 웃기는 오역을 하나 은근슬쩍 수정. - v1.2

오프닝, 엔딩 삽입. z3ed.txt, z3op.txt를 만들어놓고 Ctrl+A, Ctrl+C, Ctrl+V로 가고 있습니다.
이번엔 어째 OP랑 ED가 제때제때 나와줘서 싱크 밀고 당기고 할 필요가 전혀 없네요. ㄳㄳ - v1.3

↓이거 다운받으세요↓

(스폰서 있는 23분 59초짜리 SayMove 영상 기준)

Posted by 엽토군
:

懺・さよなら絶望先生 第一話
「落園への道」「春の郵便配達は二度ベルを鳴らす」「晒しが丘」
안녕 절망선생 참편 1화
"서울에 둔 결말을 찾아", "봄의 전령이 가면 그뿐", "나 가진 것 탄식밖에 없어"

012345678

작업환경이 많이 바뀌었습니다. 비스타로 갈아탔고, 한방에가 당최 작동이 안 돼서 이지캡션으로 갈아탔고(덕분에 시간 많이 버린데다가 논스폰서 자막을 못 만들었음), 게다가 KMP가 자막을 함께 캡쳐해주지 못해서 지금 큰일입니다.
잠시 후부터는 2화 작업해야 합니다. 속도가 붙었으면 좋겠습니다.
놀라운 사실은, 하루쯤 전에 다음 화 내용이 뭔지 미리 알 수 있다는 겁니다. 저도 참고는 하고 있지만, 그 출처는 영 수수께끼입니다. - v1.0

br태그가 제대로 안 되는 치명적 버그가 있어 개고생했습니다. - v1.1

무명 님의 지적으로 어리바리한 실수들을 고쳤습니다. - v1.2

오프닝, 엔딩 넣었습니다.
앞으로 이지캡션과는 사요나라입니다. EZNE_ 태그 지울 걱정 안 해도 돼서 너무 좋아요. - v1.3

↓이거 다운받으세요↓


(스폰서 있는 23:59짜리 SayMove 영상 기준)

Posted by 엽토군
:

대담 7

2009. 7. 12. 01:46

이야기 좀 더 하자. 우리 좀더 사귀자.
(열차 창가 좌석에 앉아 풍경을 바라보며 시간을 죽이려고 궁리해 보고 있다.)

왜, 야한 생각이라도 하게?
네?
난 널 안다. 너 지금 나 무시하고 괜히 엄하게 시간 죽이려고 하고 있잖아. 아니면 뭐, 찬양이라도 들을래? 너 찬양 좋아하지?
...
...미안하다,
?
내가 썩 매력있지 않아서...
아뇨, 그 무슨 천만의...
그래도 이거 하나는 알아주라. 난 너를 사랑하는, 그리고 네가 사랑하는 하나님이 되고 싶다.
...
...


...매력이 없는 하나님!
대담을 가질 때마다 느끼는 것은 놀라움과 창피함과 죄송스러움이다. 사실 참 하나님은 우상이 아니시므로...

―그는 주 앞에서, 마치 연한 순과 같이, 마른 땅에서 나온 싹과 같이 자라서, 그에게는 고운 모양도 없고, 훌륭한 풍채도 없으니, 우리가 보기에 흠모할 만한 아름다운 모습이 없다. (사53:2)
Posted by 엽토군
:

마이클 무어의 개봉박두 영화 <회장님 구하기> 티저예고편. 원본 출처는 여기



아놔 ㅋㅋㅋㅋㅋㅋ 비꼬는 것좀 보라지
이거 작업하고 군대 갈 수 있으면 좋겠네

'2 다른 이들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시 듣자 Matt Redman  (0) 2009.07.22
사람을 표현하는 순우리말  (2) 2009.07.18
now retwitted  (0) 2009.06.23
David Crowder * Band, <Bwack Be Creepin'>  (0) 2009.06.19
문화다양성 같은 소리하네  (0) 2009.06.12
Posted by 엽토군
:

그냥 따라그려봤음. 나 정당엔 관심 없는데...

012345

원작자 Curtis는 설정원안 공개하라 공개하라

'1 내 > ㄷ 그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중파 가시내 1  (2) 2011.01.21
웹툰 연재 예고  (2) 2010.10.10
더 생각해 보자  (4) 2009.04.19
옛날 낙서 중에서  (2) 2009.04.06
한없이 합법적인 T셔츠 가안  (4) 2009.01.23
Posted by 엽토군
:

now retwitted

2009. 6. 23. 16:05

"내가 요새 나루토를 보는데, 느낀 게, 존나 열심히 안 하면 안 될 거 같애. 근데, 우린 열심히 안 하잖아. 우린 안 될거야, 아마." ― 권기욱, <반드시 크게 들을 것>의 인터뷰 중 (2009)
: 가히 시대정신이다. 감탄을 금할 길 없는 압축적 시국선언이다.

"인간은 세상의 지배자가 되려는 노력을 하였다. 하지만 그럼으로써 인간은 매우 탁월한 방법으로 세상을 잃어버리게 되었다." ― 독일천주교 주교회의, 「창조물의 미래-인류의 미래」(1980)[각주:1]
: 환경문제를 말하는 숱한 지적과 선언 중에서 가장 짧고 똑바르다.

"부자로 죽기 싫다. 돈은 내게 아무것도 아니다. 돈을 쌓아두겠다는 욕심이 제일 나쁘다. 돈은 훨씬 더 많은 사람들이 인심은 왜들 더 후하지 않은 건지 모르겠다."[각주:2] ― 애니타 로닉, <더 바디 샵> 창업자의 유언 중 (2007)
: 그녀의 남편은 <빅이슈> 사장, 그녀는 모두가 부러워하는 쿨 메이커.

"대통령에게 대놓고 '발악'을 할 수 있는 자리에 간다는 실감과 용기가 없으면 참모 자리를 맡거나 지키지 말아라."[각주:3] ― 도날드 럼즈펠드, 「럼즈펠드 규칙」, '백악관에서 일할 때' 제 1항 (2001)
: 언론에서 접한 번역과 원문의 어감이 아주 달라서 내가 새로 번역했다.

"많은 분이 요즘 20대를 일러 ‘괴물 세대’라고 말하지만 실제 그렇지 않았다. 호기심이 많고 도전의식도 컸다. 그런데 어쩌다 20대가 안정추구형이 됐을까 생각해보면 사회 책임이 크다. 사회가 더 큰 압력으로 다른 선택을 할 수 없도록 누르고 있다." ― 안철수, <시사iN>의 대담 기사에서 (2009)
: 나만 이렇게 느끼는 건 아니더라. 보노라면 안철수 씨는 참말 지성인이다.

  1. "Zukunft der Schopfung", in Herder-Korrespondenz 34(1980), p. 561. [본문으로]
  2. I don't want to die rich. Money does not mean anything to me. The worst thing is greed - the accumulation of money. I don't know why people who are extraordinarily wealthy are not more generous. [본문으로]
  3. Don't accept the post or stay unless you have an understanding with the president that you're free to tell him what you think “with the bark off” and you have the courage to do it. [본문으로]
Posted by 엽토군
: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798)
0 주니어 PHP 개발자 (7)
1 내 (120)
2 다른 이들의 (254)
3 늘어놓은 (37)
4 생각을 놓은 (71)
5 외치는 (76)
9 도저히 분류못함 (31)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달력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