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한국의 고3 체험'관광코스.
    1박 2일 코스로 잡고, 자립형 사립고의 양해를 구해 고3들의 생활과 문화, 그리고 한국의 입시 교육을 소개한다. Believe it or not의 수준이므로 언론에 몇 번 나가면 대단한 구경거리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우선 낮 4시쯤에 오리엔테이션으로 죽음의 트라이앵글 영상 같은 걸 보여주고, 입시 역사를 간결하게 소개하고, 중요한 입시용어(정시/수시, 배치표, 등급제, SKY 등...)를 가르쳐 준다. 그리고 공부하는 고3 교실을 한 번 밖에서 구경할 수 있게 해 준다. 다시 돌아와서는 모의고사 체험이나 대학 지원 체험 등을 재미있게 꾸며 본다(예를 들어 주어진 단어 50개를 얼마나 외우느냐를 가지고 면접 등수를 가른다든지...). 이렇게 시간이 지나 밤이 되면 야자 풍경을 한 번 보여준다. 다시 돌아와 책 한 권씩을 던져주고 그 학교 고3들과 똑같은 스케줄대로 야자를 시킨다. 거기서 엎드려 자게 하고 다음 날 아침 거기 학생들이 일어나는 시간에 깨워 다짜고짜 0교시를 한다. 이런 식으로 고생시킨 뒤 끝으로 교육문제를 고민하는 시민단체를 소개하며 기부할 것을 권하고 마친다.
    어떤가? 입질이 슬슬 오지 않나? 이런 관광상품 승인만 받아서 한 3개월만 운영하면 우리나라 교육문제는 국가 최대의 안건으로 급부상해 조금씩 바뀔 것이다. 그렇게 하면 적어도 국제 망신인 줄은 알 테니까.
    뭐 이거말고도 우리나라 영세 의류공장 견학이나 시위문화 체험 같은 것도 괜찮겠다. 시위문화 체험이라면 시즌만 봐서 잘 하면 되고, 정 안 되면 수요집회에 참석하게 하는 것도 괜찮겠다. 외국인이 보면 뭐라고 할까? 생각해 봤음 좋겠다.
  • 각종 프로그램과 사이트들이 얼마나 그 수명을 유지하는지를 조사해 보고 싶다.
    윈앰프는 여전히 사랑받고, 사사미는 한때 지존이었으나 지금은 없다. 그런 걸 조사한다면 어떤 응용 프로그램이 장수하는지를 알 수 있어서 프로그래머와 기획자들에게 꽤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한다.
  • 많으면 많을수록 좋지만 최소한 50명쯤은 동원하여, 시내 한복판에서 무작정 뛰어다니거나 발구르기. 그러니까 플래시몹을 해보고 싶다. 아니면 무균복이라도 입고 다니거나, 아니면 합창단 가운이라도.
  • 강남 한가운데에서 캠핑하기. 돈 없는 사람에게 강남은 사막이다. 물도 없고 구해 먹을 양식도 없고 쉴 곳도 없고 공기는 탁한 곳. 강남사거리에 두 번째 갔었을 때, 돈이 별로 없어서 목마름을 참으며 한참 헤매다 집으로 돌아간 적이 있다. 그 때 생각해냈다.
  • 이명박 '장로' 인터뷰. 신앙인으로서 어느 정도의 믿음과 앎과 실천이 있는가를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신학적인 오류나 실천상의 문제는 절대 놓치지 않고 집중적으로 파헤친다. (까놓고 말하면 바닥이 드러나게 하는 게 목적.)
  • 유한회사 샤프트에서 일하기. 이건 일본어 잘하게 되고 실력을 쌓으면 정말 하고 싶다. 하다못해 잡역이라도 하고 싶다. 괜찮은 기업이다.
  • 서초구 양재2동 잔디마을 취재 나가야 된다. 이거 급하다. 한겨레21 토막기사로 처음 이름을 알았다. 주소지 등록이 안 돼 있어 내비게이션에도 나오지 않는다는 소문이 있다.
  • 팟캐스트 라디오. '시대착오진흥원'. 시대착오적인, 그러니까 너무 뒤처지거나 너무 앞서나간 듯한 온갖 것을 모아 소개한다. 프로그램도 다 생각했다. 혹시 같이 하고 싶다면 흔적 남겨달라. 자세한 건 여기
  • 미래연표를 만들어보고 싶다. 예를 들어 '미래소년 코난'은 2008년이 배경이라고 한다. 그리고 '2009 로스트 메모리즈'는, 일제로부터 독립을 이루지 못한 채 2009년까지 이어질 경우를 그리고 있다. 이런 식으로.
  • 하나의 전제를 깔고, 그 전제를 위해 수없이 많은 아이러니와 일탈, 유머가 동원되는 이야기를 만들어보고 싶다. 예를 들어 '주의! 전동차와 승강장 간격 -10cm' 같은 거. 마이너스다. 어떤 일이 벌어질까? ㅎㅎ - 08.03.31
    이거 비슷한 것으로 생각해본 게 <연극의 탄생>. 매번 무대에는 의자, 문, 커다란 기둥, 선풍기 등 단 하나의 소품과 맨몸의 배우들과 각종 조명효과만 올라간다. 어떤 연극이 가능할까.
  • 프리러닝 배우고 싶다. 근데 기초체력이 안 되니... PSP를 사라고? 싫어. 아이팟 살 거야(...)
  • 말고도 더 있는데 생각이 안 난다. 나는 대로 추가하겠다.

우리나라에선 애가 뭐 하나 엉뚱한 걸 해보려고 하면 꼭 하는 질문이 있다.
"그래서 어따 쓰게?"
이 짧은 질책이 창의력과 다양한 사회를 짓밟는다. 원래 창의는 처음 보기엔 신기하긴 한데 쓸모는 없어 보이는 법이다. 아이디어는 질보다 양이다.

'1 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생각하는 3종의 언어  (4) 2008.04.19
언어 없는 사고, 전달, 그리고 검색사이트의 한계  (12) 2008.04.18
돈과 관련하여 요새 하는 생각들  (8) 2008.03.21
대박  (2) 2008.03.20
또 주절주절  (8) 2008.03.15
Posted by 엽토군
:
  • 주말에도 대출해 주는 일본자본 러시○캐시를 필두로 한 요즈음의 대부업체들은 마땅히 타도대상이다.
    우리 역사를 쭉 보건대, 고리대가 성행하면 꼭 나라가 망했다. 지금은 망조가 든 건가?
  • 요즘 사람들은 돈을 산다. 필요한 물건을 사는 게 아니라 가공 · 미지의 욕구를 사기 위해 돈을 산다. 돈을 원하고 돈을 소비한다. 과장된 아니면 근거 없는 막말이지만, 그런 생각이 막 든다.
  • 현재 사고 싶은 것들의 우선순위는 아래와 같음.
    통기타 > 닌텐도 DS + 닥터 > 아이팟 클래식 80GB > 중고노트북 > PSP + DMP1+2
    만약 돈이 차고 넘친다면 다음 순서대로 사겠음.
    최신형 노트북 > 아이팟 클래식 160GB > 통기타 > 닌텐도 DS + 닥터 > 조낸 좋은 컴퓨터 > PSP + DMP1+2 > 각종 앨범 > 무균복, 메가폰
  • 하지만 일단은 주변 분위기와 재정상태가 좋지 않으므로 쌓을 것과 낭비하지 않을 것만 생각하자. 교통비가 지금 장난이 아니다.
  • 내일 친구 옷사줘야되네 ㅜㅜ 제발 만오천원 넘지 말라고 해야겠다 돈없다고 울어야지

'1 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어 없는 사고, 전달, 그리고 검색사이트의 한계  (12) 2008.04.18
해보고 싶은 실험이나 조사나 헛짓거리  (6) 2008.03.22
대박  (2) 2008.03.20
또 주절주절  (8) 2008.03.15
2MB를 위한 서민학개론 OT, 1강  (2) 2008.02.28
Posted by 엽토군
:
이 글은 분노로 가득 차 있습니다. 글쓴이를 침착하게 하는 코멘트와 트랙백을 부디 부탁드립니다.


[들어봅시다] "영어몰입교육 안한다"

영어몰입교육을 안 한다고? 오해가 있었다고? 당신들은 항상 그래. 오해가 있었다고 하지. 혹시 참외밭에서 신발끈 매지 말란 말 못 들었나? 아니, 도둑이 제 발 저리다, 방귀 뀐 놈이 성낸다, 뭐 이런 말은 아나?
그리고 생각하는 개념 자체가 웃겨. 학교나 교사들도 다 경쟁하재. 남이 이기고 내가 지고 하는 마당에 퍽이나 공부가 잘 되겠어, 그지? 내신에서 가르칠 거니까 수능에서 과목 줄여도 정상교육이 된다? 막말로 지랄마라. 나 내신등급제 인간인데 나 고3때도 안갈치는 건 절대 안 갈치더라. 수능에 초점 딱 맞춰서.

영어전용교사제 내년 실시…교원평가제 6월까지 법제화
잘들 논다. 정말로 우리나라가 미국의 51번째 주가 되는 날이 가깝다. 한 10년, 아니 그보다 훨씬 빨리 이 세상은 영어가 판치는 한국이 될 거 같다. 가뜩이나 외래어 꼴보기 싫은 마당에.
아무리 생각해도 이슈 세팅이고 절대기준 확립에 다름아니다. 영어와 과학영재고, 이거 가지고 이제 우리 애들 박터지게 싸울 거다. 미치겠다.

‘MB형 글로벌인재’ 키운다
학교만 새로 짓고 자율과 정명사상을 주면 뭐가 잘 돌아갈 줄 아는 모양이다. 이런 이상적(우리나라에선 아쉽게도 이상이니까)인 정책을 추진하려면 국민 공감대가 제일 필요하다. SKY로 시작하는 대학서열이 우선이 아니라 각자의 재능이 우선이고 목표가 우선이라는 생각, 이거 5년은 고사하고 10년 동안 노력해도 안 될 만큼 어려운 일이다. 근데 일단 학교부터 짓겠단다. 그리고 대학에선 지네들 조때로 애들 뽑겠단다. 근데 과학인재 육성이 과학신동→영재교육원→영재학교→대통령과학장학생 사업으로 이어지신다? 제발 깨몽해라, 깨몽.

(원인) "학생들이 공부하다 죽었단 얘기 들은 적 없다"
(결과) [날줄씨줄] 24시간 학원
공부를 우습게 보고 학생의 고충을 우습게 보는 개자식이기에 이런 말이 나온다. 사고방식이 오공시절 권력의 하수인들 하는 소리같아서 오싹하다. 공부하다 죽은 영혼들은 하고 많다. 수능 다다음날 으레껏 나오는 낙화 소식들. 개자식들. 학생의 고생을 물로 보는 개 같은 것들.


학생이 교육시장의 수요자인 것처럼 말하는 머저리들. 시장주의 미치광이들.
경제 이론은 어디까지나 그래프 위의 가정인 줄도 모르는 일자무식들.
태어나서 일평생 공부만 해 온 사람들에게 감히 더 공부하라고 지껄이는,
인생의 절반 정도나 공부하는 데 썼을 낯짝 뻔뻔한 게으름뱅이들.
공부 어려운 줄 모르고 배움의 설움을 다 까먹은 어른들.
이 땅의 교육정책을 우습게 보는 역겨운 인간들.

'4 생각을 놓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기자 선생에 대해 생각해 봤습니다.  (2) 2008.04.09
막 쓰는 거  (2) 2008.04.04
대학이 재밌지가 않다  (7) 2008.03.08
일기  (2) 2008.03.02
시화연풍 아리랑 및 축하공연 못 본 게 아쉽다  (0) 2008.02.27
Posted by 엽토군
:

대박

2008. 3. 20. 13:25
최근 들어 내가 응모한 오른쪽 위 한마디(ニコニコ動画の右上ネタ)가 탁탁 채용된다.
어 신기해;;

やっと見つけたぜ、今日から思いっきり書き込んでやる!待ってろ、右上!

'1 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보고 싶은 실험이나 조사나 헛짓거리  (6) 2008.03.22
돈과 관련하여 요새 하는 생각들  (8) 2008.03.21
또 주절주절  (8) 2008.03.15
2MB를 위한 서민학개론 OT, 1강  (2) 2008.02.28
문득 한 생각  (2) 2008.02.26
Posted by 엽토군
:

신발 주인

2008. 3. 20. 12:36





최규석, 100℃(만화로 보는 6월민주항쟁)
http://www.610.or.kr

'2 다른 이들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슬프다  (0) 2008.03.29
아름다운 월페이퍼 사진 세 장  (2) 2008.03.26
이상으로 여기는 근본적인 사상  (4) 2008.03.20
한국큐브협회 문의페이지에서  (2) 2008.03.19
서강TV에서 화면 오른쪽 위에  (0) 2008.03.10
Posted by 엽토군
: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798)
0 주니어 PHP 개발자 (7)
1 내 (120)
2 다른 이들의 (254)
3 늘어놓은 (37)
4 생각을 놓은 (71)
5 외치는 (76)
9 도저히 분류못함 (31)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달력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