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메모: <달뜬 이(Man on the Moon, 1999: ←저 번역 괜찮지 않아요?)> 보기
  • 꽤 많은 사람들이 남들과 다르게 생각하고 싶어한다. 주로 돈 되는 아이디어가 필요해서인 거 같다. 그런데 한 가지 장담하는 것은, 돈 되는 아이디어는 남들과 다른 생각이 아니고 오히려 남들의 생각과 철두철미하게 똑같은 아이디어다. 서점이나 음반매장에 가서 베스트셀러 진열대를 보면 무슨 말인지 알 수 있을 것이다.
  • 남들과 다르게 생각하는 사람들은 대체로 남들에게 이해받기를 일부러 꺼리는 거 같다. 어차피 까일 테니 이쪽에서 공격적으로 나서는 것이다. 그래서는 안 된다. 이해받기 어려울지라도, 언제라도 설명할 수 있도록 준비해 둬야 하며, 또 누군가 깜냥 되는 사람이 이해할 만큼 충분히 친절하게 해 둬야 한다.
  • 가끔은 아무 뜻도 없는 짓을 해 보라. 사실 무의미한 행위들은 상당한 가치가 있다(어디까지나 예술적, 아이디어적 관점에서). 대표적인 것이 낙서고 여행이다. 펜을 쥐고 아무렇게나 긋는 것만으로도 상당한 표출이 되며, 무작정 아무 곳이나 가서 마냥 구경을 하고 있는 것만으로도 상당한 경험이 된다. 모든 생각은 러프에서 시작하며 어떤 발상도 처음부터 그 의의를 부여받지는 않는다.
  • 거꾸로 생각하는 것은 기본이다. 그러나 거꾸로 보기 위해 거꾸로 보아서는 안 된다. 뒤집어보기는 어디까지나 익숙한 것을 낯설게 느끼기 위해 하는 것이다. 시각적으로 거꾸로 보는 것은 기본이고, 논리적으로나 시간 진행에 있어서나 어떤 역할, 위치, 조건 등등을 뒤집어보는 발상은 익숙한 것의 재발견을 위해 해 볼 만하다. 다만 거꾸로 뒤집기 말고도 물어볼 수 있는 질문이나 접목해 볼 수 있는 생각은 많다는 점을 잊지 말자.
  • 발상 그 자체에 집중하고 발상의 뒤에 어미를 붙이는 건 나중에 하라. "~면 어떨까?", "~면 돈이 되지 않을까?", "~는 생각을 해 봤는데 너무 이상한가?" 등등에 사로잡히지 말고 그냥 아무 생각이나 막 하라.
  • 형식과 내용은 서로 같이 가야 한다. 아이디어와 직관은 절대적이지만 설계와 구체화는 필요하다. 발상으로 돈을 벌려면 이는 더욱더 절실하다. 사실 아이디어 구성 과정에서는 머리 깨지게 어려운 '설계'가 필요한 시점이 반드시 온다. 이 갈보리 언덕을 어금니 꽉 깨물고 지나가야 그 다음에 실체화의 영광이 있다. 이 언덕을 지나가지 않으면 또 하나의 망상이 한 사람의 머릿속에서 사라져 버린다.
  • 아이디어를 발현할 때는, 그 발상에 가장 적합한 발현의 형식을 선택하되, 그 형식을 몸으로 익혀야 한다. 문학, 영상, 공연예술 등등 그 형식에는 필연적으로 한계나 방법적 표준안이 있게 마련이고(예를 들어 작곡가 이야기를 쓴 소설에 오선지는 나오지 않는다), 반대로 그 형식이 갖는 특장점이 저마다 있게 마련이다(예를 들어 문학은 가장 직접적으로 관념을 표현할 수 있다는 점 등). 이런 것들을 체득해 두어야만 실제로 발현할 때 좌절하지 않는다. 형식이 틀린 것 같다면 과감하게 때려치우고 다른 방식을 골라야 한다.

숙제는 안 하고 이걸 왜 적고 있다냐. 요약하는 숙제만 지금 한 5주째 하노라니, 엉뚱 생산하기를 다 까먹어서 그런가 보다. 이런거 써봤자인데.

Posted by 엽토군
:

- 무한도전 You&Me(유앤미) 콘서트 무도빠자막판

무도빠 자막만들기 프로젝트 카페에서

인제 와서 무한도전 챙겨보고 있는데... 이거 반드시 구해서 봐야지. 무한도전은 지식채널e와 더불어 외국에 포맷이 수출될 자격이 있는 프로그램이다. 조만간 문화현상이 돼야할텐데... 그건그렇고 프로젝트런어웨이편이 좀 심심했던 건 나뿐인가?

- Slacker Uprising (대체로 게으름뱅이 봉기, 슬래커 업라이징으로 제목을 譯했는데 나라면 암만해도 '투표부대'란 말을 반드시 넣어야겠다. "일어서라 투표부대" 정도?)

가뜩이나 다운로드도 공식다운은 북미권에서만 된다기에 할수업ㅂ이 blip.tv에서 뽀려온건데 자막도 업ㅂ다네욤 히밤. 무어 아저씨 땜에 다큐계에 들어온 내가 또 총대 매야되나

- 제일은행 눈물의 비디오

요새 와서 이런 게 다시 회자되는 데는 이유가 있다. 라고 생각해서 다운받고 바닥에 깔고 mp4변환까지 시켰는데 정작 보질 않고 있다 OTL 빨리 봐야지

Posted by 엽토군
:

정치와 경제와 철학을 함께 공부한다는 게 어떤 건지 이제 조금씩 감이 오기 시작한다. 왜 이 전공과정이 비인기인지는 자명하거니와 중간시험을 한 달도 안 남긴 지금에 와서야 조금씩 실감이 난다.

민주주의는 단순히 인민의 자기통치만을 혹은 독재타도만을 부르짖어 끝날 것이 아니다. 우리나라의 지니 계수는 미국, 호주, 영국보다도 낮은 프랑스나 캐나다 수준이다. 철인 정치는 한 개인과 사회가 똑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는 발상에서 나온 개념이다. 우리가 위대한 철학자로 쉽게 말하는 데카르트와 칸트는 형이상학을 탁상공론으로 한정해 버린 주범들일 수도 있는 것이고, 토지가 개인의 사유재산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은 우리 학교 경제학과 기도모임 담당교수가 그에 찬성하는 논문을 쓰는 주제이며, 우리가 신뢰해 마지않는 자유민주주의라는 것은 그 어휘 자체가 내부모순과 갈등을 안고 있는 개념이다.
경제는 정치적이며 정치는 철학적이고 철학은 경제적이다. 정치는 경제적이며 철학은 정치적이고 경제는 철학적이다. 세상은 왼쪽과 오른쪽, 위와 아래, 이상과 현실, 이론과 실제, 개념과 사례로만 나누어지지 않으며, 그러므로 중요한 건 두 줄기 자체가 아니라 그 중간과 바깥과 뿌리일지도 모른다.

이 마당에 초급라틴어까지 배우고 있다. 장차 배워서 전공하려는 이것들을 써먹자고 하면, 난 뭘 해서 돈을 벌게 되나?

Posted by 엽토군
:

숙제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읽고 요약까지 했던 최장집 교수의 '한국 민주주의 뭣이 문제인가'가 생각난다. 국가와 국민의 애매한 관계. 민주적으로 선출되었으니 오히려 국민에게 행정 서비스로 봉사해야 할 정부가 이렇게까지 새삼스럽게 하는 것은, 차라리 우리 정부의 경직성을 반증해 주는 것인지도 모른다.
내가 정부 VIP 고객이라니... 내가 세금을 내기 때문에? 내가 투표권을 가졌기 때문에? 나는 국민이 아니고 정부의 고객인가? 정부의 동향을 최대한 빨리 알아볼 권리는 모든 시민에게 당연히 있는 것이 아닌가? VIP라니?
Posted by 엽토군
:
공부라는 게 그런 것 같아요. 자기가 공부하기 싫을 때 어쩌면 자기가 공부를 가장 열심히 하고 있다는 반증입니다. 공부를 열심히 안하는 사람은 공부가 싫지 않아요. 취미 삼아서 놀면서 하는 사람은 공부가 싫지 않은 법이죠. 공부라는 게 열심히 할수록 점점 하기 싫어지고 점점 괴로워진다. 나는 괴롭다고 생각하는 순간 그렇게 생각하세요. ‘나는 정말 열심히 하고 있다.’
공부하기 싫어 죽겠어서 '공부하기 싫어 죽겠다'라고 검색해 봤더니 나왔다. 우앙ㅋ굳ㅋ 안되겠당 공부해야지
Posted by 엽토군
: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798)
0 주니어 PHP 개발자 (7)
1 내 (120)
2 다른 이들의 (254)
3 늘어놓은 (37)
4 생각을 놓은 (71)
5 외치는 (76)
9 도저히 분류못함 (31)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달력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