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래 두 곡

2008. 1. 18. 19:16

'2 다른 이들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라이시 씨, 또 한 건 하셨군요  (2) 2008.01.31
오늘 영어교육 공청회 시청소감  (4) 2008.01.30
그림씨에 rhyme을 맞춰서  (0) 2008.01.15
Quoted from Michelle Rhee  (2) 2008.01.12
Jonathan Barnbrook  (2) 2008.01.11
Posted by 엽토군
:
DVD판 자막이 아닙니다. DVD 파일용 자막은 여기로 가 주세요

序・絶望少女撰集(BS11版)
「さよなら絶望先生」「トンネルを抜けると白かった」「書をきちんと本棚にしまって町へ出よう」
절망소녀찬집 서 (BS11 선행방송판)
"안녕 절망선생", "터널을 빠져나오니 하얗게 변했다", "나는 무얼 바라 다만 홀로 똑 부러진 것일까"


01234

원작의 오리지널리티를 충분히 살려서 다시 만든 거라고 할까요, 패치판이라고 할까요.
 무슨 말이 필요하리. 일단 보세요.
아직 이거 자막 안 나왔기를 간절히 바라며..
(사실 검색능력이 좀 딸려서 자막 유무는 잘 알기 힘듭니다.)
그건그렇고 왜 DVD가 잘 안 돌아다닐까... 아힝; - v1.0

절망소녀선집(選集)이 아니고 절망소녀찬집이었습니다.
3월달 밝은 밤이 아니고 초승달 뜨는 밤이었습니다.
결정적 실수들.
말고도 이것저것 고쳤습니다. - v1.1
invalid-file

23분 59초 스폰서 있음, 429MB 기준

Posted by 엽토군
:

오늘, 별

2008. 1. 18. 14:12
오늘


카메라가 있는데 찍을 것이 없다.
펜이 있는데 적을 것이 없다.
오디오가 있는데 들을 것이 없다.

시간이 있는데 할 게 없다.
인생이 있는데 목적이 없다.
목숨이 있는데 삶이 없다.







어렸을 적 별은
반짝이지 않았다.
작은 별이나 큰 별이나
다 또렷또렷 별빛이었다.
어른들은 반짝반짝 작은 별이 아름답게 비친다며
못 믿을 말을 했다.

오늘 별은
반짝인다.
공기의 흐름이 빛을 산란하여
약한 별빛과 센 별빛이 있는 거라고.
어느 날 내가 어른이 되면
제일 약한 별부터 하나둘 반짝이다가 사라지고
마침내 캄캄한 밤만 남을 거 같아
겁이 나
반짝이는 작은 별을
서럽게 아름다워하고 있다.

상당히 즉흥적이다. 다듬고 싶다.

'1 내 > ㄴ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침밥  (0) 2008.04.25
[018] 비행청소년  (2) 2008.04.24
해발 173cm  (2) 2007.12.20
도시 전설의 시작  (4) 2007.12.19
하이쿠 두 개  (4) 2007.12.13
Posted by 엽토군
:
- 나는 왜 문학을 하는가. 가장 원시적이고 근본적이라는 meme이자 ネタ로도 볼 수 있는 것이 시이고 이야기일 것이다. 나는 왜 남의 글을 읽지 않고 남의 작품을 감상하진 않으면서 누군가 나의 글을 읽어주고 나의 작품 같지도 않은 것을 감상해줄 거라고 기대하는가. 아니 그보다, 하나같이 소재만 생각해내고 그 다음을 이어나가지 못하는 난 왜 책임을 안 지려고 하는 건가.
어젯밤 이야기 발전소를 보다가 문득 원삼이, 양명 선생님, 호연이가 떠올랐다. 주기자도 떠올랐다. 연두도 떠올랐다. 구승철 대리가, 윤상훈 대표이사가, 생각하긴 싫지만 플렘스톤과 크라임즈가 생각났다. 그들에게 몹시 미안하다. 김씨 아줌마와 '을'과 창훈이와 안복진을 뒤로하고 '김어진 기획사'는 아까운 사람들을 썩히고 있다.
나는 아주 권태로운 사실주의에 매몰되어 있다. 문학을 문학답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 나는 왜 문학을 하는가. 허술한 곳을 만들고 싶다. 누군가 기억해 주고 암송해 주고 추억으로 간직해 주는 걸 쓰고 싶다. 노래를 쓰고 싶다.
덧붙여 하나 더. 난 생명파인가?
- 어제 100분토론 감상평 몇 줄. 100분 토론은 전화를 걸거나 인터넷으로 글을 써 가며 보는 것이 가장 재미있게 보는 방법이다. 찬성팀 대표교수란 사람이 불쌍할 정도로 어눌했다. 아니, 자기가 아는 게 없고 중장기적으로 해봐야 알 거 같으면 도대체 거기엔 왜 나왔나. 서강대 입시가 빡세기로 유명한데 그런 데서 나온 교육학 교수가 학벌사회라느니 대학의 독점이라느니 그런 얘길 밑에 깔고 발언을 하기에 놀랐다.
손석희 교수만 불쌍하다. 대체로 같잖다. 뭐 하자는 토론인지 알 수가 없었다. 학생이 한 명도 참여하지 않았는데도 그들이 진정 교육문제를 개선할 의지가 있다는 건가? 참여자들이 하나같이 '애들'이라고 부른다. 그러면서 자신들 각자의 전제에 대해서는 생각지 않고 백년가야 안 끝날 말장난들이나 하고 있었다. 그것도 처음부터 끝까지. 같잖다.
- 오늘 드라마시티 재방송 '아버지의 이름으로' 보다가 결국 슬퍼졌다. 언젠가 그런 거에 공감하게 될 거라고 생각하니 슬프다. 아주 적으나마 아역배우들의 연기에도 공감이 갔지만, 이제 어른들의 이야기를 보고 있는 나를 본다.
- 절망소녀선집 서 자막을 해야되는데 현재 치리에 와 있다. 이 부분 네타조사만 대충 때우고 넘어가면 그다음부턴 일사천리인데, 귀찮다. 에구.
- 뭔가를 짓는 사람이 가장 두려워하는 것은 실수와 허점이다. 그것이 음악이든 그림이든 기계든 이론이든 무엇이든. 그 두려움은 때로 너무나 강력해 아까운 사람을 낙마케 하기도 한다. 그리고 그 두려움을 극복하는 유일한 길은 더 갈고 더 닦는 것, 혹은 더 높고 더 빼어나고 더 진실된 다른 무언가로 다시 짓고 또 짓는 것뿐이다. 그것이 창조자의 숙명이다.

'4 생각을 놓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를 보며 생각하는 것들  (14) 2008.02.05
일기  (4) 2008.01.29
우리 뭔가 좀 핀트가 어긋나 있지 않냐?  (0) 2007.12.24
견디다  (0) 2007.12.22
꿈을 꿨다  (0) 2007.12.19
Posted by 엽토군
: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796)
0 주니어 PHP 개발자 (7)
1 내 (120)
2 다른 이들의 (254)
3 늘어놓은 (36)
4 생각을 놓은 (70)
5 외치는 (69)
9 도저히 분류못함 (31)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달력

«   2008/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