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KBS 대하드라마 정도전 보다가 문득 생각난 것.


그 때에는 이스라엘에 왕이 없었으므로, 사람들은 저마다 자기의 뜻에 맞는 대로 하였다.

(삿17:6, 21:25)


나는 이 말씀의 ‘왕이 없었다’라는 표현을 단순히 “왕 역할을 하는 사람이 옹립되지 않았었다”라고 읽지 않는다. 이것은 사사기라는 히브리 경전의 한가운데와 맨 끝에 등장한다는 점에서 가장 극적으로 상징적이고 함축적인 요약일 것이기 때문이다. 여기서의 ‘왕이 없었다’는 말은 “왕정(王政)”, 나아가서 정체(政體, regime)가 없었음을 의미한다고 이해해야 하지 않을까? 그래야 그 뒤의 “저마다 자기의 뜻에 맞는 대로 하였다”라는 서술이 상호 호응이 된다. 왕이 있든 없든 자기 마음대로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지 않은가. 문자 그대로 임금이 존재하지 않았다는 의미 이상을 함축한다고 보는 것이 옳다.

“나라의 주인은 국민”이라는 개념과 사사기의 ‘왕이 없어 저마다 자기 뜻대로 하더라’ 관점은 서로 모순되는 것만은 아니라고 본다. 이상적인 왕정은, 아니 이상적인 정체는 그것이 무엇이든 궁극적으로는 구성원 전체의 집단적 원망(願望)의 응축 및 실현일 것이라는 점에서 서로 공통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것을 어떻게 가능하게 하느냐에 따라 regime의 종류가 나뉘는 것일 테다. 왕정에서는 그것이 ‘성군’으로 응축되어 ‘태평성대’로 실현될 것이 기대되며, 일반 민주공화정 사회에서는 대의제, 삼권의 분립 및 적극적 활약을 통해서 각 사안별로 수시로 응축 및 실현될 것이 기대된다는 점만이 다르다. 그저 “지금으로 말하자면 지금 우리 대통령님이 왕과 같은 자리에 있는 셈이다” 운운하는 유치한 말씀 해석이 한탄스러울 뿐, 어쩌면 우리는 진정한 “왕”을 모셔 본 적이 없거나, 진정으로 이 나라의 주인으로 살아 본 적이 없는 것인지도 모른다. 그리고 아마도 실제로는 둘 다일 것이다. 그때에 이 반도에 왕이 없으므로, 사람들은 저마다 자기 소견에 옳은 대로 행하였더라.


'5 외치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되고 정신차린 말  (0) 2015.01.06
문의와 답변  (0) 2014.07.22
2013년 9월 30일에 작성한 글입니다.  (0) 2013.09.30
조용기 목사 설교의 수준을.araboja  (0) 2013.08.15
아리마대 사람 요셉  (0) 2013.06.02
Posted by 엽토군
:

이 글은 알바하는 학원에서 문제지 작업을 하다가 어쩐지 한 번쯤 공유하고 싶어지는 대목이 있을 때 캡쳐해서 올리는 글입니다.




# 4개의 직각 > 3개의 직각

최근 초등수학 난이도 관련 논란이 불거졌었는데요, 알바를 하면서 실제 '문제지'를 만들고 편집하는 입장에서 말씀드리자면 사실 요즘 초등수학은 문제의 난이도보다는 그 무의미성 내지는 무성의함, 즉 '피상성'이 훨씬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처음 받았던 문제 원본에서 ⑤는 '직사각형은 직각이 3개 있습니다'였습니다. 그런데 생각해 보세요. 직사각형은 4개의 직각을 가지는데, 그렇다면 직각이 3개 있다는 말도 틀리지는 않잖아요? 그런데 원본이 원한 답은 ④였습니다. 그래서 ⑤의 "3개"를 "3개만"으로 고쳐서 올렸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여겨지는 초등수학 문제들은 이런 식입니다. 조건 제시는 허술하고 문장의 해석에는 이론의 여지가 있으며 출제자들은 그럴 리 없다고 철석같이 믿고 있습니다. 수능 때 단어 하나 조사 하나가 숱한 사람들의 명운을 결정한다면, 왜 초등수학에서부터 그것을 염두에 두지 않느냐 말이죠.


# 표가 알바를 구원하리라

한글에서 삼각형을 어떻게 그려야 할까요? 여러 방법이 있겠지만 최근에 시도하고 있는 것은 표 도구입니다. 셀 테두리 / 배경 > 여러 셀에 걸쳐 적용 > 대각선으로 들어가 이런 식으로 지정해 줍니다.

장점은 이등변삼각형, 직각삼각형 등의 작도가 쉽다는 점이고 단점은... 일일이 말하기가 어렵네요;;; TeX 배워서 함수 적고 plot하는 짓을 하는 순간부터 알바가 아니라 전문 지면 편집자의 일을 해주는 꼴이 날 것 같아 거기까지는 가지 않으면서 노력대비 최상의 결과를 내려고 머리를 굴리는 중입니다. -_-;;;


# 내가 할 수 있는 선에서 최선의 것을

이거는 수학은 아니고 학원 전용 영단어집 본문 엑셀 일부입니다. 예문만 쫙 모아놓는 페이지를 제가 처음부터 끝까지 집필(!)할 기회가 있어서 그냥 확 다 해 버렸더랬죠. 그동안 초중고 영어교육을 받으면서 항상 불만족스럽게 보아 왔던 무미건조하고 "죽은" 예문들에 대한 반감을 가득 담아 약 35% 정도의 모험을 감행하여 탈고했습니다. 개중에는 서양 명사들의 실제 명언도 많이 넣었고, 노래 가사(Chumbawamba의 Tubthumping처럼 누구나 한 번쯤은 들어봤을 만한 것으로)나 TV 프로그램 제목("코갓탤"은 사실 하나의 문장이죠)도 활용했고, 심지어 'come true'라는 숙어에 대해 예문을 만들어야 해서 "내 꿈이 이루어지는 나라"도 구글링을 해서 넣었습니다. ㅋㅋㅋㅋㅋ... 이 예문을 읽는 학생들이 '어딘가에서 분명히 사용되는 (혹은 사용할 수 있는)' 문장, "살아 있는" 예문을 쓸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제가 할 수 있는 선에서 최선을 해 주려고 애썼던 기억이 납니다.




이 글은 심심하면 업데이트합니다. 기대하시라.

'2 다른 이들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Monty Oum씨의 부고를 알립니다  (0) 2015.02.03
오셔서 마음껏 드십시오  (2) 2014.09.06
헌법에서 가장 긴 & 짧은 조목  (0) 2014.02.02
테큐니카 시스템 음악들  (0) 2013.12.08
농담과 진담  (0) 2013.11.07
Posted by 엽토군
: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796)
0 주니어 PHP 개발자 (7)
1 내 (120)
2 다른 이들의 (254)
3 늘어놓은 (36)
4 생각을 놓은 (70)
5 외치는 (69)
9 도저히 분류못함 (31)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달력

«   201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