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개미를 읽었던 것은 중학교 3학년 때다. 절대로 지하에 내려가지 말라는 이야기는 나를 이 책 아래로 내려가게 만들었고, 성냥개비 여섯 개로 삼각형 네 개 드립은 처음으로 내게 책의 결론을 엿보기 위해 읽지도 않은 지면을 훑는 못된 짓을 하게 만들었다. 그는 분명 왕성하고, 많이 배웠고, 열심히 쓰고, 낭만 있는 작가다. 게다가 우리나라엔 그의 팬이자 전속 번역가라 할 만한 사람까지 있고 보면, 그가 우리나라에서 대히트를 기록하고 있다는 데는 전혀 이상할 게 없다.
베르베르를 읽고 있으면 세계는 매우 신비스럽고 깊어지고 지적이고 신적인 세상이 된다. 그는 절대자/조화옹과 그에 대한 이해에서 파생되는 동물(세계/우주)과 인간의 관계, 어떤 단순한 가정의 극단적인 시뮬레이션, 죽음과 삶, 범신론/자연주의, 인간 철학의 허무성 등등을 계속해서 이리 뒤섞고 저리 뒤섞으며 과학적 사실과 상상이 우리의 세계관과 생활양식 그리고 그 기저에 깔려 있는 보이지 않는 얕은 선입견들이 얼마나 '상대적이고 절대적인'가를 목도하게 만든다. 뇌만 남은 인간이 뇌파를 받아 명령을 수행하는 기계에 의탁하여 살다 마침내 한 천재 체스 선수에게 약간의 쾌감을 물리적으로 제공하여 복상살한다는 이야기는, 혹은 17이란 수가 있다는 것을 깨닫는 데 평생을 바친 수도자가 뿔 달린 동물처럼 생긴 667700996이나 그 이상의 수도 얼마든지 있음을 너무 급작스럽게 알아버린 바람에 반군에 합류한다는 이야기는, 아니면 요한계시록의 14만 4천이라는 천국 백성의 수를 그대로 인용하여 거대한 우주선에 태우다가도 '근데 인간이라는 유해종이 이 세계에서 번식할 이유가 있나' 하는 물음을 주고받는 이야기는, 우리를 예상 가능한 수준에서 경탄하게 한다. 역시 베르베르는 상상력이 대단해, 하고.
문제는 그게 다라는 데 있다.
그의 작품구도부터, 장편의 경우, 한 천재의 의문의 죽음에서 대체로 시작되거니와 그 과정을 쫓아가는 주인공이 있고 그와 전혀 무관해 보이는 다른 이들의 이야기가 흐르고, 작가의 백과사전이 인용되고, 다시 무의미해 보이는 서술이 이어지다가 이 모든 것이 다시 겹친다. 그리고 나서는 작가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줄줄 늘어놓다가 어정쩡하게 신기한 이야기로 라스트 신이 그려진다.
게다가 그의 주제의식도 대체로 상이하다. <뇌>를 읽은 뒤 <나무>의 수록작 <완전한 은둔자>를 읽어 보면, 장 루이 마르탱은 귀스타브가 되었는가 하는 착각이 일고, <나무>의 수록작 <어린 신들의 세계>는 결국 <신>의 선행방송이 아니냐는 생각이 떠나지 않는다. <카산드라의 거울>을 읽어보지는 않았지만, 그가 드디어 지금껏 영 다뤄본 적이 없던 '시간과 과거'라는 주제를 생각한 모양인데, 그나마 이것마저 없었더라면 그는 점점 뒤처지고 있다는 평밖에 듣지 못했을 것이다.
무엇보다 효용성, 문학성의 문제가 강하게 제기되는데, 그는 그저 자신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몇 가지 주제에 대하여 이렇게도 얘기해 보고 저렇게도 얘기해 보는 데서 그만 그치고 있고, 그래서 재미있는 과학적 상상 이상의 도전적인 가치 제시나 기존의 자신과 세계를 해체 재구성해 보는 등의 쇄신 없이, 마치 자판으로 사고실험을 하고 있을 뿐인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킨다. 그의 문학이 당대에 재미있었다는 이유로 많이 팔릴지는 모르겠는데, 그가 세기를 넘어 두고두고 기억되지는 못하리라는 것은 아무래도 점점 기정사실이 되어간다(그의 작품 중 하나를 대표작으로 골라 그것을 두고두고 기억할 수는 있겠다)―본받는 문제는 물론이고.
이제 그에 대한 평가에서 거품을 뺄 때가 됐다고 나는 생각한다. 그는 그야말로 과학소설계의 댄 브라운이다. 댄 브라운이 '음모론 소설계의 베르나르 베르베르'로 군림하고 있듯이 그렇다. 내가 중학생 때는 모든 것이 희미하게 보여 그의 작품이 개미굴처럼 광대하고 웅장하고 그래서 더욱 끝없을 줄 알았는데, 음, 이제 군바리를 넘어 복학생이 될 준비를 하는 지금, 점점 자기표절을 보여주고 있는 그에 대해서는, 다시 재평가를 실시해서 클래스를 낮추어야 하지 않나 하는 의문이 자꾸만 든다.
...그러거나 말거나 그는 여전히 베스트셀러 작가다. 어느 서적가판대에서나 그를 볼 수 있다. 싫으면 말고... 난 여러분께 그냥 고민하지 말고 최신간을 사서 읽으시라고 권해드리고 싶다. 어쨌든 한두 달 정도 심심풀이로는 그만한 작가가 또 없다.
P.s 그를 전담하다시피하는 이세욱 님께 경의를 표한다. 이분 때문에 번역이라는 짓을 우러러보게 되었고 급기야 좋은 자막 잘 봤다는 분에 넘치는 칭찬을 받는 내공까지 스스로 올라가게 되었다.
그의 작품구도부터, 장편의 경우, 한 천재의 의문의 죽음에서 대체로 시작되거니와 그 과정을 쫓아가는 주인공이 있고 그와 전혀 무관해 보이는 다른 이들의 이야기가 흐르고, 작가의 백과사전이 인용되고, 다시 무의미해 보이는 서술이 이어지다가 이 모든 것이 다시 겹친다. 그리고 나서는 작가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줄줄 늘어놓다가 어정쩡하게 신기한 이야기로 라스트 신이 그려진다.
게다가 그의 주제의식도 대체로 상이하다. <뇌>를 읽은 뒤 <나무>의 수록작 <완전한 은둔자>를 읽어 보면, 장 루이 마르탱은 귀스타브가 되었는가 하는 착각이 일고, <나무>의 수록작 <어린 신들의 세계>는 결국 <신>의 선행방송이 아니냐는 생각이 떠나지 않는다. <카산드라의 거울>을 읽어보지는 않았지만, 그가 드디어 지금껏 영 다뤄본 적이 없던 '시간과 과거'라는 주제를 생각한 모양인데, 그나마 이것마저 없었더라면 그는 점점 뒤처지고 있다는 평밖에 듣지 못했을 것이다.
무엇보다 효용성, 문학성의 문제가 강하게 제기되는데, 그는 그저 자신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몇 가지 주제에 대하여 이렇게도 얘기해 보고 저렇게도 얘기해 보는 데서 그만 그치고 있고, 그래서 재미있는 과학적 상상 이상의 도전적인 가치 제시나 기존의 자신과 세계를 해체 재구성해 보는 등의 쇄신 없이, 마치 자판으로 사고실험을 하고 있을 뿐인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킨다. 그의 문학이 당대에 재미있었다는 이유로 많이 팔릴지는 모르겠는데, 그가 세기를 넘어 두고두고 기억되지는 못하리라는 것은 아무래도 점점 기정사실이 되어간다(그의 작품 중 하나를 대표작으로 골라 그것을 두고두고 기억할 수는 있겠다)―본받는 문제는 물론이고.
이제 그에 대한 평가에서 거품을 뺄 때가 됐다고 나는 생각한다. 그는 그야말로 과학소설계의 댄 브라운이다. 댄 브라운이 '음모론 소설계의 베르나르 베르베르'로 군림하고 있듯이 그렇다. 내가 중학생 때는 모든 것이 희미하게 보여 그의 작품이 개미굴처럼 광대하고 웅장하고 그래서 더욱 끝없을 줄 알았는데, 음, 이제 군바리를 넘어 복학생이 될 준비를 하는 지금, 점점 자기표절을 보여주고 있는 그에 대해서는, 다시 재평가를 실시해서 클래스를 낮추어야 하지 않나 하는 의문이 자꾸만 든다.
...그러거나 말거나 그는 여전히 베스트셀러 작가다. 어느 서적가판대에서나 그를 볼 수 있다. 싫으면 말고... 난 여러분께 그냥 고민하지 말고 최신간을 사서 읽으시라고 권해드리고 싶다. 어쨌든 한두 달 정도 심심풀이로는 그만한 작가가 또 없다.
P.s 그를 전담하다시피하는 이세욱 님께 경의를 표한다. 이분 때문에 번역이라는 짓을 우러러보게 되었고 급기야 좋은 자막 잘 봤다는 분에 넘치는 칭찬을 받는 내공까지 스스로 올라가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