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 우리 모두 모릅시다. 모르는 사람이 됩시다. 참으로 모르는 사람은 또한 참으로 알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모르는 사람은 자기 분수를 아는 사람이요, 모르는 사람은 자기가 알지 못하는 바를 아는 사람이요, 모르는 사람은 스스럼없이 세상에, 사물에, 아(我)와 타(他)에게 물어볼 수 있기 때문이요, 모르는 사람은 아는 체한 사람보다 입장이 나음입니다.
서양에서는 대체로 모른다는 말을 알지 못한다(do not know 따위), 혹은 알지 않는다고 표현하는 듯합니다만 이것으로는 부족합니다. 이는 모르는 척할 뿐이요 또한 아는 척할 뿐입니다. 몰라야 합니다. 아주 몰라야 합니다.
언제부터인지 사람들은, 퍽이나 많이 알기 시작했습니다. 그렇지만 무엇인가를 좀 알아 가면서 사람들은 어느 새인지 모르는 법을 잊은 듯합니다. 대신 겉멋만 들어, 아는 체하는 법을 배우고 익혔습니다. 이에 따라 이른바 '앎'이라는 것이 갈사 상태에 치닫게 되었다고 저는 확신합니다. 온갖 매체와 각양 사람들이 끝없이 많은 정보와 지식을 주는데, 이것이 '앎'이라면 오죽 좋겠습니까마는 그렇지가 않게 되었습니다.
옛적 톨스토이라는 현자가 있어서, 어떤 이야기를 남기고 그 이야기를 '지옥의 붕괴와 그 부흥'이라 이름하였습니다. 이 이야기에서 한 귀신이 말합니다. 닭이 기장낟알을 못 먹게 하려면 그 위에 다른 곡식을 한까득 부어놓으면 된다고 말입니다. 우리는 이른바 지식과 정보라는 것에 푹 파묻힌 '앎'을 쪼아먹지도 못하게 되었습니다. 그뿐이면 다행입니다. 우리가 무엇인가를 알고 싶다고 진심으로 여기는 마음, 바로 '모름'이 또한 한까득 얹힌 지식과 정보 속에서 앎과 함께 덮여 버린 것입니다.
톨스토이보다 앞선 시대 그러니까 기원전 2년쯤부터 기원후 30년 정도까지 살다 간 분께서는, 온갖 수수께끼를 잔뜩 던졌더랬습니다. 그의 가르침을 곁에서 듣던 열두 사람이 물었을 때에 그분이 이렇게 이르셨습니다. "다른 사람들이 이 비밀을 알까 하여 내가 비유로 말했다. 옛날 선견자들도 너희가 지금 보는 것을 보지 못했다. 그러니 너희들은 복이 있다." 이 열두 사람은 몰랐던 사람들이어서, 또한 수수께끼 속의 앎을 받아먹을 수 있었다 합니다. 이분보다 더 옛날 사람인 세네카라는 철학자는, '나는 모른다고 말하는 것이 전혀 부끄럽지 않다, 오히려 모른다고 말할 줄 모르는 사람들이야말로 부끄러워해야 한다'라고 말하였습니다.
여러분, 모릅시다. 모르는 사람이 됩시다. 물론 모두를 알 수 있다면 그건 거짓말입니다. 그렇지만, 진정 모를 줄 아는 사람이야말로 참된 앎을 얻어 좀더 풍요롭고 아름답고 빛깔 있는 삶을 얻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P.s: 형이상학 강의 듣는데 이런 얘기가 나오더라. "인간은 질문하는 존재이다. 질문으로서의 질문이야말로 형이상학을 가능하게 하는 단서이며 인간의 초월적(형이상학적) 사고를 가능하게 한다." 1
서양에서는 대체로 모른다는 말을 알지 못한다(do not know 따위), 혹은 알지 않는다고 표현하는 듯합니다만 이것으로는 부족합니다. 이는 모르는 척할 뿐이요 또한 아는 척할 뿐입니다. 몰라야 합니다. 아주 몰라야 합니다.
언제부터인지 사람들은, 퍽이나 많이 알기 시작했습니다. 그렇지만 무엇인가를 좀 알아 가면서 사람들은 어느 새인지 모르는 법을 잊은 듯합니다. 대신 겉멋만 들어, 아는 체하는 법을 배우고 익혔습니다. 이에 따라 이른바 '앎'이라는 것이 갈사 상태에 치닫게 되었다고 저는 확신합니다. 온갖 매체와 각양 사람들이 끝없이 많은 정보와 지식을 주는데, 이것이 '앎'이라면 오죽 좋겠습니까마는 그렇지가 않게 되었습니다.
옛적 톨스토이라는 현자가 있어서, 어떤 이야기를 남기고 그 이야기를 '지옥의 붕괴와 그 부흥'이라 이름하였습니다. 이 이야기에서 한 귀신이 말합니다. 닭이 기장낟알을 못 먹게 하려면 그 위에 다른 곡식을 한까득 부어놓으면 된다고 말입니다. 우리는 이른바 지식과 정보라는 것에 푹 파묻힌 '앎'을 쪼아먹지도 못하게 되었습니다. 그뿐이면 다행입니다. 우리가 무엇인가를 알고 싶다고 진심으로 여기는 마음, 바로 '모름'이 또한 한까득 얹힌 지식과 정보 속에서 앎과 함께 덮여 버린 것입니다.
톨스토이보다 앞선 시대 그러니까 기원전 2년쯤부터 기원후 30년 정도까지 살다 간 분께서는, 온갖 수수께끼를 잔뜩 던졌더랬습니다. 그의 가르침을 곁에서 듣던 열두 사람이 물었을 때에 그분이 이렇게 이르셨습니다. "다른 사람들이 이 비밀을 알까 하여 내가 비유로 말했다. 옛날 선견자들도 너희가 지금 보는 것을 보지 못했다. 그러니 너희들은 복이 있다." 이 열두 사람은 몰랐던 사람들이어서, 또한 수수께끼 속의 앎을 받아먹을 수 있었다 합니다. 이분보다 더 옛날 사람인 세네카라는 철학자는, '나는 모른다고 말하는 것이 전혀 부끄럽지 않다, 오히려 모른다고 말할 줄 모르는 사람들이야말로 부끄러워해야 한다'라고 말하였습니다.
여러분, 모릅시다. 모르는 사람이 됩시다. 물론 모두를 알 수 있다면 그건 거짓말입니다. 그렇지만, 진정 모를 줄 아는 사람이야말로 참된 앎을 얻어 좀더 풍요롭고 아름답고 빛깔 있는 삶을 얻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P.s: 형이상학 강의 듣는데 이런 얘기가 나오더라. "인간은 질문하는 존재이다. 질문으로서의 질문이야말로 형이상학을 가능하게 하는 단서이며 인간의 초월적(형이상학적) 사고를 가능하게 한다." 1
- 형이상학의 가능성에 대한 E. 코레트의 논증. [본문으로]
'1 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려운 말의 권력 (2) | 2007.12.01 |
---|---|
UCC에 던지는 물음표 (4) | 2007.12.01 |
지식의 옥, 지식의 공원 (0) | 2007.11.29 |
국기에 대한 경배 (0) | 2007.11.29 |
커뮤니티의 생태계라고? (2) | 2007.11.28 |